연령별 평균 소득 연봉 월급 자산은 얼마일까 궁금합니다. 연봉을 받고 있는 본인 나이대의 사람들은 얼마를 받고 자산을 얼마나 모아가고 있는 지 비교도 해보고 싶고, 본인 연봉이 적은 지 많은 지 위치도 알고 싶을 때 아래 글을 꼭 참고해서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바로 연령별 평균 소득 연봉 월급 자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연령별 평균 소득 연봉 월급 자산은?
소득과 자산의 정의
소득은 경제 활동의 대가로 얻는 돈을 의미하며, 대표적으로 월급과 연봉이 있습니다. 반면 자산은 개인 또는 회사가 소유하고 있는 경제적 가치를 지닌 자원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과 주식이 이에 해당합니다.”얼마 ‘벌어야’ 평균인가요?”는 소득에 대한 질문이고, “얼마 ‘모아야’ 평균일까요?”는 자산에 대한 질문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임금직무정보시스템에서 조회한 결과입니다.
연령별 평균 소득
20대 중후반 (25~29세)
사회초년생으로 분류되는 이 연령대의 평균 연봉은 약 3,600만원입니다. 즉, 월급으로 환산하면 약 300만원 정도가 됩니다. 평균보다 높거나 낮은 것에 민감해 할 필요는 없습니다. 초고소득자의 월급도 평균에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30대
▲ 만 30세 ~ 34세 평균 연봉
▲ 만 35세 ~ 39세 평균 연봉
이 시기는 경력을 쌓아가는 시기로, 평균 연봉은 4,400만원에서 5,200만원 사이입니다. 월급으로는 약 366만원에서 433만원 정도입니다. 중위소득은 약 4,000만원, 즉 월급 333만원입니다.
40대
▲ 만 40세 ~ 44세 평균 연봉
▲ 만 45세 ~ 49세 평균 연봉
40대는 슬슬 은퇴를 고려하는 시점입니다. 평균 연봉은 5,700만원에서 6,000만원이며, 월급으로는 약 500만원 정도입니다. 중위소득은 4,800만원, 즉 월급 400만원으로 낮아집니다.
50대
▲ 만 50세 ~ 54세 평균 연봉
▲ 만 55세 ~ 59세 평균 연봉
50대는 많은 사람들이 은퇴를 준비하는 시기입니다. 평균 연봉은 40대와 비슷하지만, 중위소득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60대 이상
▲ 만 60세 평균 연봉
노년층에 접어들면서 경제력이 감소하고, 소득도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이 시기의 소득에는 매달 받는 연금도 포함될 가능성이 큽니다.
연령별 평균 자산
- 20대 이하: 평균 자산 1억 3,498만원
- 30대: 평균 자산 4억 1,246만원
- 40대: 평균 자산 5억 9,241만원
- 50대: 평균 자산 6억 4,236만원
- 60대 이상: 평균 자산 5억 4,372만원
30대의 평균 자산이 4억 원에 달하는 것은 놀라운 수치입니다. 하지만 이 평균에는 부채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부동산 자산과 사회적 분위기
국내에서 부동산 자산 비율은 상당히 높습니다. 내 집 하나는 꼭 있어야 한다는 사회적인 공감 속에 집값 상승을 우려하여 과도한 대출을 받아 집을 구매한 청년들이 많았고, 이후 집값이 하락하고 이자 부담이 커지는 상황을 겪어서 영끌 사태까지 벌어졌습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지금 사지 않으면 안 된다”는 압박감이 형성된 것은 잘못된 현상입니다. 결국, 기준은 남이 아닌 나 자신이어야 합니다.
결론
남들과 비교하기보다는 과거의 나 자신과 비교하며 성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가 얼마나 벌고 모으느냐가 중요하지, 남들과의 비교는 인생에서 큰 의미가 없습니다. 어제보다 나은 오늘을 살아가며 계속해서 성장하는 것이 진정한 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연령별 평균 소득 연봉 자산에 대해 알아봤다면, 아래 내용도 함께 확인하시면 좋습니다.
워렌버핏 주식 수익률 투자 종목 TOP5(포트폴리오) ▶
주식사는 법과 파는법(2024년) 주식 매수 매도 방법 ▶